뒤로 Shimano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기

EP2. 기술적 메커니즘의 역사를 만들고 있는 듀라 에이스(DURA-ACE) 그리고 울테그라(ULTEGRA)의 탄생!

그 동안 로드바이크를 많이 타 왔던 라이더라면, 단연코 듀라에이스(DURA-ACE) 시리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을 것 입니다. 이번에는 그역사의 2번째 이야기와 울테그라(ULTEGRA)의 탄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로운 변속 메커니즘의 탄생

 

듀라에이스는 에어로 다이나믹 시리즈인 7300 AX 그룹셋의 출시 이후, 더욱 더 정확한 변속 성능을 보여주고자 노력했습니다.

 

7400 시마노 인덱스 시스템

 

 

 

 

그리고 1984년, 시마노 인덱스 시스템(SHIMANO Index System, SIS)이 적용된 듀라에이스 7400 그룹셋이 출시되었습니다.

 

 

 

기존에 구분이 없는 변속 시스템으로, 기어 변속 역사에 있어 큰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기존의 감각에 의해 레버를 조정하여 변속했다면, 시마노 인덱스 시스템(SIS)의 출시와 함께, 라이더들은 한 단을 정확하게 구분되어 변속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IS 변속 레버

 

 

실질적으로 변속 트러블이 줄어들게 되고, 쉽게 기어를 변경하면서, 레이스에서의 더 나은 결과를 만드는 데 기여했습니다. 7400 시리즈는 최고의 선수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었고,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곧, 시마노 인덱스 시스템(SIS)은 로드 레이스에서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듀얼 컨트롤 레버(Dual Control Lever, DCL)

 

이후, 자전거 변속 메커니즘의 역사에 큰 변화를 가져온 계기가 있었습니다.

 


 

그것은 브레이크 레버와 변속 레버를 하나로 합친, 듀얼 컨트롤 레버(Dual Control Lever, DCL)의 탄생입니다.

죄송하지만, 현재 쿠키 설정에서는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쿠키 설정을 변경하시려면 푸터에서 "쿠키 설정"을 클릭하십시오.

 

또한 이를 통해 STI(Shimano Total Integration) 컨셉을 발표하고, 로드 변속 시스템의 환경을 완전히 바꾸는 계기를 만들었고, 로드 레이스 역사에 있어 혁신 그 자체였습니다.

 

 

 

 

 

듀얼 컨트롤 레버(DCL)가 있는 듀라에이스 7400 그룹셋

 

 

 

변속 시스템의 진화

 

 


 

듀라에이스 7700 그룹셋(9단)

 

 

이 후, 점진적인 변속 시스템의 진화가 이루어지고, 1996년! 듀라에이스 7700 시리즈의 새로운 9단 변속 시스템이 등장하게 됩니다.

 

 

 

 

79번째 개최되는 Giro d'Italia 에서 9단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마페이(MAPEI), 폴티(POLTI), TVM, 파나리아(PANARIA), MG, 페스티나(FESTINA) 팀을 위해 300 세트의 프로토 타입 제품들이 준비되었고, 3주 간의 치열한 레이스를 거치면서,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Pascal Richard in Atlanta Olympic 1996

 

 

그 해 말, 파스칼 리차드(Pascal Richard)가 아틀란타 올림픽 로드 레이스에서 우승을 거머쥐었고, 상위 12명의 선수들 모두 듀라에이스 7700 시리즈의 프로토 타입 구동계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전세계 주요 로드 레이스에서 듀라에이스 구동계의 성능이 완전하게 입증되었고, 2000년대에 들어서 그 입지는 점점 단단해지고, 영향력 또한 빠르게 커져나갔습니다.

 

듀라에이스 7800 시리즈(10단)

 

그리고 2003년 듀라에이스 7800 시리즈의 출시로, 10단 로드 구동계의 막을 올리게 됩니다. 7800 시리즈는 속도, 부드러움, 견고함이라는 3가지의 핵심 테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속도와 부드러움은 쉬운 변속과 향상된 제동,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이어졌고, 견고함은 강성과 내구성, 정밀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더 경량화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죄송하지만, 현재 쿠키 설정에서는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쿠키 설정을 변경하시려면 푸터에서 "쿠키 설정"을 클릭하십시오.

 

 

그 속에서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된 형태의 크랭크와 비비에 할로우테크(HOLLOWTECH) II 라는 기술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죄송하지만, 현재 쿠키 설정에서는 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습니다. 쿠키 설정을 변경하시려면 푸터에서 "쿠키 설정"을 클릭하십시오.

 

 

할로우테크II 기술에 대한 부분은 아래 링크로 접속하기!!

 

 

 

 

 

 

울테그라(ULTEGRA)의 탄생

 

레이스 컨셉으로 개발되고 진화되어 온 듀라에이스와는 다르게, 울테그라는 듀라에이스의 주요한 기능들을 그대로 가지고 오면서, 듀라에이스의 성능적인 부분들을 더 많은 사이클리스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었습니다.

 

 

 

 

시마노 600 그룹셋(1975)

 

시마노 울테그라의 전신인, 시마노 600은 듀라에이스에 이어 새로운 부품 시리즈로 등장했습니다. 1975년 시마노 600이 출시될 당시 스포츠 자전거는 레이싱 자전거와 투어링 자전거로 나누어져 있었고, 시마노 600은 두 장르 모두에 완벽한 부품으로 제공되었습니다. 소재는 듀랄루민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했습니다. 단조 기술외에도 아노다이징 및 수지를 사용한 알루미늄 도금 등 모든 부품에서 외관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통합하여, 세련된 디자인의 경량 부품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시마노 600 EX 그룹셋(1978)

 

크로몰리 프레임의 전성기인 1978년, 유럽의 수제 프레임들과 완벽하게 어울리는 디지인의 시마노 600 EX 시리즈가 출시되었습니다. 디자인 트렌드의 반영과 함께 뒷변속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해치 플레이트 메커니즘, 듀라에이스(DURA-ACE)보다 기어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들에게 외관 뿐만아니라 기능적인 면에서의 편의성이 추가된 부품군이었습니다.

 

 

 

 

 

 

시마노 600 AX 그룹셋(1980)

 

1980년 출시된, 시마노 600 시리즈는 듀라에이스와 함께 공기역학적 기술을 통합하여 출시했고, 공기 저항을 줄이면서, 보다 효율적인 부품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시마노 600 EX 그룹셋(1983)

 

그리고 새로운 버전의 시마노 600 EX 그룹셋이 1983년 출시되었습니다. "매우 아름답고 높은 기능성" 이라는 컨셉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하여 설계되었습니다. 높은 품질과 함께 기능성을 시각화하기 위해 디자인에 집중했고, 이것이 시마노 부품 디자인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특히 유럽 시장내에서 레이싱 시리즈는 유일한 고급 모델로서 인식되었습니다. 이 성공은 이듬해 New 듀라에이스 7400 시리즈 개발의 기반이 되었고, 이 후의 시마노 제품 개발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울테그라 6400 그룹셋

 

그리고 시마노는 로드 구동계 시리즈의 재배치를 위해 1987년, 전체 모델을 변경하고 시마노 600 울테그라(ULTEGRA) 6400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

 

 

 

 

3가지 색상의 스트라이프 로고 디자인을 도입하며, 레이싱의 새로운 이미지를 연출했습니다. 시마노 600 시리즈는 계속적인 진화를 거듭하게 되었고, 1997년 모델의 변경과 함께 시마노 600 이라는 이름은 없어지면서, 울테그라(ULTEGRA) 라는 이름으로 공식화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름은 듀라에이스와 함께 중상급 모델로서, 현재까지도 대중들에게 사랑받고 불리어지고 있지요!!!

 

 

 

 

 

레이스를 초점으로 개발된 듀라에이스(DURA-ACE)!듀라에이스의 최첨단 기술들을 채택하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레이싱의 즐거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울테그라(ULTEGRA)! 이 두 가지 로드 구동계의 탄생과 기술적 진화로 인해, 지금까지도 그 모습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듀라에이스의 기술적 발전과 울테그라 시작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로 로드 바이크 부품에서 또 한 번의 혁신을 가져왔던, 그 세번째 이야기는 다음기사에 소개 예정입니다.

 

 

 

여러분의 듀라에이스, 울테그라, 105 그룹셋과 관련되어, 7/23 (금)~ 8/22(일)까지 포토 콘테스트가 진행되고 있으니, 많은 참여 바랍니다.